![](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3HxtN/btqTLw6Eowz/Fk2bJ8artYVfAGfdWIcybK/img.png)
출처 : browndwarf.tistory.com/3 PostgreSQL 사용자 추가 및 DB/ Table 생성 지난 포스팅 'PostgreSQL 설정 변경 및 실행 (RHEL7 환경)' 에 이어 사용자 추가와 DB 생성을 해보려 한다. 1. 사용자 생성 현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때는 아래와 같이 pg_shadow나 pg_user를 사용하면 된다 browndwarf.tistory.com 사용자, 테이블스페이스, 데이터베이스는 같은 level의 object이다. 먼저 사용자를 만든 후 테이블스페이스를 만들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와 테이블스페이스로 연결해 주며 생성한다. 테이블스페이스를 먼저 만들면 다른 사용자로 테이블스페이스가 만들어져 있다. 테이블스페이스 만들기 -- tablespace 생성 CREAT..
출처: https://yongho1037.tistory.com/462 [개발 노트] CREATE TABLE ..... ( ... ) WITH (OIDS = FALSE); CREATE TABLE ..... ( ... ) WITHOUT OIDS; 와 같은 구문을 발견했다. WITHOUT OIDS여기서 OIDS가 뭔지 몰라서 검색을 해보았는데 OIDS는 기본키를 설정 하지 않을때 pgSQL에서 자동적으로 고유번호를 붙여주는 컬럼이라고 한다. 여기서 OIDS를 FALSE로 한다는 것은 이 컬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인 것 같다.
출처 : ttend.tistory.com/442 한글2014 기준 전체 단축키 일람 ■ 기본 단축키 ○ 커서 이동 관련 단축키 기능 단축키 메뉴 경로 빈칸 삽입 SpaceBar - 문단 나누기 Enter - 한 글자 왼쪽으로 ← - 한 글자 오른쪽으로 → - 한 줄 아래로 ↓ - 한 줄 위로 ↑ - 한 단어 오른쪽으로 Ctrl+→ - 한 단어 오른쪽으로 (문단 나눔, 줄 나눔 포함) Shift+Alt+→ - 한 단어 왼쪽으로 Ctrl+← - 한 단어 왼쪽으로 (문단 나눔, 줄 나눔 포함) Shift+Alt+← - 한 문단 아래로 Ctrl+↓ - 한 문단 위로 Ctrl+↑ - 왼쪽 단으로 Ctrl+Alt+← - 오른쪽 단으로 Ctrl+Alt+→ - 줄 처음으로 Home - 줄 끝으로 End - 문단 처음으..
insert into test(testtime) values(systimestamp); insert into test(testtime) values(to_timestamp('2009-01-03 12:33:33'); 출처: https://hamait.tistory.com/208 [HAMA 블로그] -- 해당 날짜의 데이터 select count(watt) from tbl_test_watt_lsh where regdate >= date '2016-10-17' and regdate = current_date and regdat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ZHpN/btqTxBz7CnL/klNUSEYbrjPiAp3q8eQFUk/img.jpg)
출처 :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zxcvbnm6386&logNo=22122249492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사전적 뜻 마찰을 적게 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축(軸)의 지점(支點) 끝을 원뿔꼴로 한 것. 체육 : 농구·핸드볼·배드민턴 등의 구기(球技)나 댄스에서 한 발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일. excel의 pivot 기능은 많은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가지고 표를 재구성하는 기능이다. 위 그림을 예로 들면 3행부터 8행까지, B열부터 F열까지 즉 B3:F8 범위에 데이터들이 기재되어 있다. 각 열에는 날짜, 이름, 필기, 실기, 총점으로 다섯 가지의 칼럼이 있다. 이 범위의 내용을 다섯 가지의 칼럼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foPnp/btqTtrKOIEb/IFwQJgJz2cWeNUAyy5Dy61/img.jpg)
지도는 대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 걸까요? 출처 :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aver_map&logNo=1011540307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한마디로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입니다. 지도는 대표적으로 이 3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점(Point), 선(Line), 면(Polygon). 이 3가지를 지도에서는 각각 POI(Point Of Interest), 도로, 배경으로 표시합니다. 나침반 노래에서, 종로, 영동, 청량리, 을지로가 바로 점(Point)이자 관심 지점인 POI가 되는 것입니다. 선(Line)은 한 지점과 지점을 이은 길, 즉 지도에서는 도로를 뜻합니다. 사방팔방 둘러..
DETERMINISTIC 함수란 함수구문 리턴절에 DETERMINISTIC 키워드가 들어간 것이다. 그러면 DETERMINISTIC 함수는 무슨 역할을 하나? 바로 이런 함수의 형태에서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바로 입력값이 동일하면 리턴값도 받드시 동일한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점을 이용해서 함수가 반복 호출될때 이전에 호출한 값이 호출되면 함수가 호출되지 않고 바로 값을 되돌려 줘서 함수호출 부하를 줄이는 것이다. 출처: https://dev4u.tistory.com/357 [데브포유]
- Total
- Today
- Yesterday
- @ExceptionHandler
- Javascript
- $.extend
- excel
- DatePicker
- devtools
- ul li로 테이블
- 여러 컬럼 update
- draw.io
- caniuse
- oracle
- 정규식
- 전후방탐색
- sumifs
- spring
- setter
- 프로젝트명변경
- $.each
- Keycode
- object key
- 진열사랑
- element위치
- PostgreSQL
- JQuery
- getter
- border-collapse
- QueryDSL
- lombok
- springboot
- C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