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forgiveall.tistory.com/454 Column Selection Mode (컬럼 선택 모드) (Vertical Selection(?) Multiple Selection(?))마치 깜지 숙제할 때, 팬을 여러개 뭉쳐놓고 쓰듯 편집하고 싶을 때가 있다. 무슨말이냐 하면, 세로로 나열된 무언가를 일괄로 지우거나 편집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찾아바꾸기도 때에 따라서 좋은 방법이지만, 컬럼 선택 모드가 더 편할 수 있다. 사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니 편한대로 골라 써 보자. - [Ctrl]을 연속 두번 누르고 두번째는 누른채로 방향키로 커서를 위 아래 좌우로 - [Alt]를 누른채로 마우스로 드래그(Drag)한다. - [Wheel Mouse Button]으로 드래그한다. - [A..
HTML Entity 문자(<)를
> curl -v telnet://100.111.34.230:2451
출처:https://velog.io/@rmaomina/CRLF-LF-error-problem-solved CRLF/LF는 OS에 따라 다른 개행 방식이다. 리눅스와 맥같은 Unix-like System은 LF 방식을 사용하고, 윈도우는 CR/LF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CR LF는 ‘Carriage Return, Line Feed’의 약자이다. 고전 타자기에서 비롯되었다. 종이를 고정하는 Carriage를 제자리로 미는 동작 (Carriage Return, \r)과 종이를 올리고 줄을 바꾸기 위해 사용한 동작을 (Line Feed, \n) 나타낸다. 결국은 바이트일 뿐 CR과 LF도 byte code 일 뿐이다. CR은 아스키(문자 인코딩 프로토콜)에서 13 혹은 이진수로 00001101, 마찬가지..
출처 : https://www.lesstif.com/software-architect/proxy-client-ip-x-forwarded-for-xff-http-header-20775886.html Proxy(프락시) 환경에서 client IP 를 얻기 위한 X-Forwarded-For(XFF) http header 개요 XFF 는 HTTP Header 중 하나로 HTTP Server 에 요청한 clinet 의 IP 를 식별하기 위한 사실상의 표준이다. 웹 서버나 WAS 앞에 L4 같은 Load balancers 나 Proxy server(HAProxy), caching server(Varnish), HTTP 서버용 WAS Connector(웹로직 커넥터 - mod_wl, 톰캣 커넥터 - mod_jk 등)..
- Total
- Today
- Yesterday
- object key
- 전후방탐색
- CSS
- setter
- 프로젝트명변경
- springboot
- border-collapse
- 진열사랑
- caniuse
- element위치
- Javascript
- 정규식
- DatePicker
- getter
- $.extend
- JQuery
- lombok
- 여러 컬럼 update
- spring
- oracle
- Keycode
- PostgreSQL
- excel
- @ExceptionHandler
- ul li로 테이블
- $.each
- sumifs
- devtools
- draw.io
- QueryDS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